초등교사의 연대로, 교육의 중심을 다시 세우다.
아이들의 행복, 교사의 권리.
학생·학부모·교사가 함께 만드는 초등교육 정상화
통찰력있는 능력자 분들과의 대화는
언제나 즐겁습니다. ^^
교육부 차관 출신이라
교사 TO에 대한 질문을 많이 했습니다.
역시나 행안부, 기재부 나빠요!!
교사 TO 문제에 대해
교육감 권한으로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
많이 고민할 수 있었습니다. ^^
<장학사를 더 뽑을 수 있다?!>
1. 장학사, 연구사는 지방직 공무원이라 교육감이 더 많이 선발할 수 있다.
2. 신규 교사 선발을 더 늘릴 수 있는 효과도 있다.
3. 다만 장학사가 많아지면 교사에서 승진하는 TO가 줄어드는 문제는 있다.
4. 전직 제한하기 등의 대안 마련이 필요하다.
<교과 전담 배치 기준 높일 수 있다?!>
1. 교육감이 교과 전담 배치 기준을 결정 권한이 있다.
2. 학교에 교과 전담을 더 배치하자.
3. 결원 발생 시 기간제를 채용하자. (정원 외 기간제)
4. 다만 몇 가지 조건이 있으니 조심해야 한다.
<교사 행정실장 만들 수 있다?>
1. 늘봄실장 등 임기제 연구사 제도가 추진되었다.
2. 이 제도를 잘 이용하여 학교 행정실장을 교사가 하도록 할 수 있다.
3. 행정직의 반발이 있을 수 있다.
<불가능한 것은 아니지만 디테일이 필요하다.>
많은 통찰력과 다양한 관점을 배울 수 있었습니다.
더 배우고 성장하여 초등교육 정상화를 만들겠습니다.